이별의 부산정거장
![]() | 이별의 부산정거장 |
---|---|
![]() | 한국 |
![]() | 극단 마루 |
![]() | 2011-05-07~2011-05-08 |
![]() | 전공연 18:00 |
![]() | 12세이상 관람가 |
![]() | 90분 |
![]() | 을숙도 문화회관 |
![]() | 1,000원 |
![]() | www.bipaf.org |
![]() | 이별의 부산정거장 |
---|---|
![]() | 한국 |
![]() | 극단 마루 |
![]() | 2011-05-07~2011-05-08 |
![]() | 전공연 18:00 |
![]() | 12세이상 관람가 |
![]() | 90분 |
![]() | 을숙도 문화회관 |
![]() | 1,000원 |
![]() | www.bipaf.org |
대중가요 “이별의 부산정거장”을 모티브로 한 가족사의 희로애락!
추억의 극단이 돌아왔다!
구수한 사투리와 함께 가슴 밑바닥에 묻어 둔 아련한 향수에 대한 동경과 추억 속으로 안내합니다.
옛날 악극 단원이었던 여주인 금순이 운영하는 허름한 선술집에 한 남자가 들어오게 되고, 금순은 남자에게 추억 속의 이야기를 들려주게 된다. 어렸을 적 금순은 악극 단원이 되기 위해 가출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우연히 주인공역을 맡게 되면서 숨은 재능을 인정받게 되고 그 후 연기자로써 확고한 자리를 잡아간다. 금순이가 공연하는 악극 “이별의 부산정거장“은 6.25전쟁으로 인해 소위 최봉구가 가족들을 부산으로 피신시키고 전쟁에 나가게 되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최봉구의 친구 집으로 피난 간 그의 가족 순이와 딸 미숙은 최봉구의 소식을 알아보려고 날마다 부산역으로 나간다. 어느 날 최봉구의 갑작스런 전사소식이 날아오지만 순이는 믿지 않는다. 전쟁이 끝나고 5년 후 순이는 이경수라는 남자의 집에서 살며 최봉구의 소식을 기다리는데 죽은 줄로만 알았던 최봉구가 전쟁의 상처를 안고 초라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최봉구는 순이의 단란한 모습에 자초지종을 듣지 않고 배신감에 휩싸이게 되는데...
그 옛날, 광대를 앞세운 악단과 연기자들이 온 마을 구석구석을 떠들썩하게 만든 밤이면 마을 너른 공터 천막에서는 한바탕 춤과 노래 이야기가 어우러진 공연이 시작된다. 비록 맨바닥에 가마니 깔고 보아야 했지만 무대에 오른 사회자의 한 마디에 울고 웃고, 가수들의 구성진 노랫가락에 흥을 더하고 연기를 펼치는 배우들의 몸짓 하나, 대사 한마디가 심금을 울렸던 유랑극단. 시대가 변하면서 사라졌지만 유랑극단은 이 땅 민중들에게는 문화의 전령사였다. 그 시절 유랑극단을 보며 자란 세대가 우리 부모 세대이다. 시대가 바뀌고 대중 문화예술의 패턴이 바뀌면서 그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공연이 전무한 가운데 "악극"이 문화소비에서 항상 뒷전이었던 그들을 문화 소비의 주체로 이끌어 낼 수 있었던 힘은 바로 가슴 밑바닥에 묻어 둔 아련한 향수에 대한 동경과 추억이 아니었을까?
공연시작후 입장불가
<STAFF>
작.연출 : 박현배 / 드라마트루기: 이흔주 / 조연출 : 박홍석/ 기획 : 김순자/ 조명감독 : 하성철 / 조명 : 정순원 / 음악감독 : 김보라, 노형우 / 연기지도 : 정대찬 / 분장: 손자영 / 의상 : 이경진 / 소품 : 전아름
<ACTOR>
출연 : 양성우, 이정민, 이재욱, 김해린, 강철웅, 김미란, 윤태흥 ,최종문
목록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