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석 줄인형 콘서트
![]() | 조용석 줄인형 콘서트 |
---|---|
![]() | 한국 |
![]() | 현대인형극회 |
![]() | 5.8(금)~9(토) 금 19:30 / 토 19:30 |
![]() | 전체관람가(3세 이상) |
![]() | 60분 |
![]() | 경성대 콘서트홀 |
![]() | 일반 15,000 / 청소년 10,000 |
![]() | 조용석 줄인형 콘서트 |
---|---|
![]() | 한국 |
![]() | 현대인형극회 |
![]() | 5.8(금)~9(토) 금 19:30 / 토 19:30 |
![]() | 전체관람가(3세 이상) |
![]() | 60분 |
![]() | 경성대 콘서트홀 |
![]() | 일반 15,000 / 청소년 10,000 |
모든 연령층이 누릴 수 있는 인형극 新문화
음악과 춤이 함께하는 인형들의 콘서트
47년간 한국 방송 인형극계를 이끌어 온 산증인 "현대인형극회"의 명품 인형극, 세대와 취향을 아우르는 40여 가지의 동·서양 개성 만점 인형 총출동!!!
· 무대의 세트가 없다
관객들을 인형 하나하나의 움직임에 집중시키기 위한 연출가의 의도
· 연기자가 오픈되어 함께하는 새로운 형식의 줄인형들
이 인형들은 줄인형 콘서트의 현대인형극회의 대표이자 예술 감독 조용석의 창작 작품. 그의 독창적인 기술로 개발한 인형들은 대부분 기술 특허를 받았으며, 그렇기에 공연을 보는 관객들은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줄인형들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음악으로 이루어진 비언어 공연
인형들은 저마다의 노래와 안무에 따라 춤을 춘다. 싱싱싱, 대니보이, 벤쵸스의 기타 음악, 엘비스 프레슬리의 곡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음악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들부터 어르신들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족이 즐길 수 있는 가족극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매력. 어린이들은 탁구공이나 요구르트로 만들어진 재활용 인형들을 좋아하고 청소년들과 젊은 계층들은 현대적인 빠른 비트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거나 노래를 부르는 인형들을 좋아한다. 부모님 세대의 장년층은 색소폰 부는 미녀인형의 움직임처럼 정교한 줄인형들을 좋아하고 어르신들은 부채춤이나 사물놀이 등 우리네 전통 음악에 연기하는 인형에 몰입하게 된다.
· 빠른 스피드식 진행
인형들은 쉴 새 없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게 되고 2~3초간 잠깐의 암전으로 휴식을 대신 한다. 빠른 변화와 다양함을 선호하는 한국인들의 정서에도 맞고 공연물을 보는 데에 10분에서 15분 정도의 집중도를 가지는 아이들의 눈을 사로잡기에는 독특한 구성이다.
· 신기한 조명 “블랙라이트”
블랙라이트란 연기자들은 검정색 옷을 입고 인형들은 형광색 옷을 입고 있으므로 해서 무대 위에서 인형들만 보이게 하는 조명이다. 이를 이용하여 연기자들은 막이 없어도 자유로운 움직임을 할 수가 있고 인형들은 화려한 색을 뽐내며 마술과도 같은 장면들을 만들 수 있다.
· 따뜻한 드라마
이 공연에는 두 개의 짧은 드라마가 있다. 하나는 나무꾼과 선녀, 또 다른 하나는 엿장수 이야기이다. 어릴 적 기억 속에 자리 잡았던 추억들을 끄집어내 현대의 웃음 감각으로 매치시켜 관객들에게 행복을 줄 것이다.
출연진
· 공 : 곡명-상하이 트위스트
탁구공으로 만든 인형. 인형의 몸체가 분리되는 듯 정교한 움직임, 음악의 성격에 따라 활발하고 율동적인 몸동작이 특징이다.
: 곡명-데니 보이
우리나라의 줄인형 1인자 조용석의 작품으로 색소폰으로 데니 보이를 부는 여자인형. 다리가 밧줄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형의 다리가 사람처럼 움직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 요구르트병 인형 : 곡명-자바
요구르트병과 우유팩을 재활용해 만든, 트럼펫 부는 인형. 트럼펫 연주할 때의 얼굴의 각도, 요구르트병이 다리와 손이 된 절도 있는 움직임 등이 특징이다.
· 자바라 : 곡명-싱싱싱
자바라로 만든 인형. 쭉쭉 유연하게 늘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 기타 : 곡명-무빙 그로잉
밧줄로 만든, 기타를 치는 인형. 밧줄의 형태가 우연인지 필연인지 사람의 얼굴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타주법에 맞게 빠르게 손놀림을 하는 부분에서는 사람들의 웃음소리를 자아낸다.
· 화관무
화려한 궁중의 문화를 전해주는 화관무. 줄인형의 응용작품으로 그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작품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다. 화관무 인형은 360도 회전을 자랑하는 줄인형으로 클라이맥스 부분에 화려한 회전을 선보인다. 위 부분에서 조종대를 잡고 있는 사람이 회전을 하고 밑에 앉아 있는 사람이 인형의 팔 동작을 연기한다.
· 사물놀이
우리나라의 신명난 가락과 연기가 일품인 인형. 인형들은 저마다의 가락에 어깨를 들썩이거나 장단을 맞추고 노래하는 등 여러 가지로 관객들을 감탄하게 된다.
목록으로 |